증권유형은 증권의 수익구조에 대한 직관적 이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동일 유형간의 위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초자산, 기초자산의 수 및 기초자산 간 상관관계, 만기, 중간평가 조건, 발행사 위험 등 다양한 요인이 증권의 위험 수준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동일한 위험등급을 가진 증권이라 하더라도 여러가지 증권유형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증권유형과 위험지표를 2차원 매트릭스로 설계하여 투자자가 현재 청약·매매 가능한 증권을 한 눈에 표시하여 증권에 대한 이해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X축에는 위험지표를 표시하고 색깔의 농도를 통해 위험을 표시합니다. 위험지표가 높을수록 색깔이 진해집니다. Y축에는 증권유형을 표시하고 무지개 7색깔을 이용하여 증권을 구별합니다. Y축의 아래쪽에는 투자형(원금보장형, 수익한도제한형, 수익한도확장형 및 신용사건연계형)이, 위쪽에는 레버리지투자형(워런트형, 워런트조기종료형 및 레버리지형)이 자리합니다. 공간적 위치에 따라 수익구조로 대변되는 증권유형과 다양한 투자위험을 반영한 위험지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한 시각지표가 될 것입니다.
무지개매트릭스의 각 좌표에는 현재 청약가능한 비상장 파생결합증권(ELS, ELB, DLS, DLB) 및 한국거래소 시장에서 매매 가능한 상장 파생결합증권(ETN, ELW)의 수가 표시됩니다. 무지개매트릭스를 통하여 투자자가 선호하는 수익구조 및 감내 가능한 위험 수준에 따라 원하는 상품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레 버 리 지 형
워런트조기종료형
워 런 트 형
신용사건연계형
수익한도확장형
수익한도제한형
원 금 보 장 형
6
5
4
3
2
1